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사가 되는 방법 - 중등 교사 (교과교사) 2탄

랑만스쿨[랑이가 만나는 학교]

by 랑만로그 2020. 9. 2. 10:41

본문

안녕하세요

랑만적인 블로그, 랑 입니다

 

교사가 되는 방법은 한 가지다?

영상으로도 올렸으니 랑만 TV도 참고해주세요 ^^

youtu.be/OpEywU7xTx8

 

오늘은 중등 교과교사가 되는 방법 2번째를 준비하였습니다.

출처:픽사베이

 

이전의 글에서 교직자격증을 취득하는 방법에 대해 언급을 하였는데요. 

2020/08/31 - [랑만스쿨[랑이가 만나는 학교]] - 교사가 되는 방법 - 중등 교사 (교과교사) 1탄

 

정리하면

Step 3. 교직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1. 00교육과가 있는 사범대나 일반대 들어가기

2.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과, 교육공학과- 사범계 계열학과 들어가기

3. 교직이수가 가능한 일반학과 들어가기

 

여기까지 이야기를 하였습니다.

교직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은


4. 일반학과에서 학점 취득한 후 교육대학원 들어가는 것

대학교 학부에서 자신이 취득하고 싶은 과목의 교직자격증에

필요한 과목을 30학점-38학점(약 10과목-15과목)을 들었다면

교육대학원에 들어가서 교직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이때  대학원 입학전에 취득을 꼭 하셔야 합니다.

각 교육대학원 입학요강을 살펴보시고 입학전에 어떤 과목을 들어야하는지 확인을 하시고

그대학교에서 잘 계획을 세우셔서 하는 것이 좋아요

 

이 방법의 단점은 돈과 시간이 많이 든다는 점이에요.

 

만약 나는 대학교 학부에서 제대로 과목을

듣지 못했는데요...

 

두둥!!

좌절하지 마세요


5. 학점은행제, 방송통신대학교에서 학점 이수하고 교육대학원 들어가기

학점은행제나 방송통신대학교 일명 방통대에 들어가서

교직자격증에 필요한 전공과목을 이수를 해야해요.

제가 기간제 교사로 근무를 할때

방통대에서 영어학을 취득하시고 교육대학원가서

교직자격증을 취득 하신후에

학생들을 가르치신 선생님을 만난적 있어요.

 

이 방법의 단점은 돈과 시간이 4번보다 두배로 들 수 있다는 점

 

 


교직자격증을 취득하는 5가지 방법 한번 표로 정리해볼까요.

개인적인 의견과 지인들의 의견이니 참고만 하시고 일반화하지 말아주세요

 

방법 장점 단점 예시
(영어교사가 되고 싶다면?)
00교육과 들어가기 들어야 하는 학점이 다른방법에 비해 적다.
다른방법에 비해 시간이 절약이 가능하여 1학년때부터 임용시험을 준비할 수 있다.
임용준비하는 친구들이 주위에 있어서 스터디 모임하기 편하다.
사범대라는 타이틀 안에 있으면 다들 교사라는 꿈을 가지고 있어서 교사가 꿈이 아닌 사람과 만날기회가 적다. 자칫 우물안의 개구리가 될수도 있음... 자신이새로운 기회를 만들어가야 한다. 영어교육과 들어가기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과
교육공학과
교사라는 꿈말고 교육에 관련된  다른 직업을 희망하는 친구들을 볼수 있어서 캠퍼스내에 다양한 경험들을 시도할 수 있다.
교육학에 대해 폭넓은 지식을 경험할 수 있다.
복수전공을 해야하기 때문에졸업할 때까지 많은 학점(과목)을 들어야 한다. 교육학과입학 후
2학년때 영어영문학과 복수전공
교직이수가 가능한 일반학과 교사라는 꿈이 아닌 다른 직업세계를 희망하는 친구들을 볼수 있으며 다양한 경험들을 쌓아나갈 수 있다.
교육에 관련되지 않은 다른 폭넓은 지식을 배울 수 있다. 
상위권에 들어가려면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 1학년때 캠퍼스의 로망을 가질 생각을 하지 말아야 함.
일반학과에 교직이수가 가능하지 않을수도 있다.
영어영문학과에 들어가서 1등을 하여 교직이수 자격을 얻는다
일반학과에 학점이수 후
교육대학원 입학
교육대학원에 입학할 생각이라면 일반학과에서 교직이수에 대해서 굳이 부담갖지 않아도 되고 압박감이 덜할 수 있다. 그래도 교대원 입학을 위해서 학점관리는 해야 한다.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후에 교사로 임용이 되면 경력으로 인정해줘서 2년에서 2.5년 호봉이 가산이 된다.

교육대학원은 보통 2.5년이라 시간이 많이들고 대학원 학비가 만만치 않다. 들어가자마자 임용공부를 하는것이 좋을것 같다. 논문을 써야하는 경우도 있을수도 있으므로 임용을 보는 것이 목표라면 논문대신 학위자격시험을 보는 곳을 추천한다. 영어영문학과에 들어가서 열심히 학점을 듣고 졸업 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에 입학을 한다.
방통대, 학점은행제에서 학점이수 후 교육대학원 입학 뒤 늦게 교사의 꿈을 가진 사람도 도전할 수 있는 방법이다. 학부때 과목을 듣지 못했다 하더라도 충분히 보충이 가능하다. 방통대와 학점은행제에서 들을 수 있는 학과 및 과목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내가 취득하고자 하는 과목의 교직자격증을 취득할 수 없을 수도 있다. 그래서 다른 과목의 교직자격증을 취득해야 하는 경우도 생긴다.
시간과 돈이 만만치 않게 든다. 5가지 방법 중 제일 경제력 소모가 심한 방법임
학부는 경제학과를 나왔다. 뒤늦게 나는교사가 되고 싶다. 방통대에 영어영문학과에 들어간다.졸업 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에 입학한다.
대학을 졸업하지 못했다 그래도 선생님이 되고 싶다. 하시는 분들에게도 추천!!! 

 

 

 

 

 

이러한 방법으로 교직자격증을 취득을 하였어요.

그러면 바로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지는 겁니다.

하지만 관문이 또 하나 남아있죠

 

Step 4.1 교원임용시험에 응시 (공립학교)

 

교원 임용시험에 합격을 하면 

공립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정규교사가 됩니다.

 

응시를 하기 전에 체크리스트

1. 한국사 능력시험 3급 이상을 소지

( 유효기간이 있으니 확인하여야 함)

2. 교직자격증 소지

(그 다음해 2월에 취득이 가능한 경우 졸업예정자로 응시가 가능)

 

만약 공립학교를 위한 교원임용시험에 합격하지 못하면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나요?

 

Step 4.2 교원 임용시험에 응시 ( 사립학교)

 

사립학교는 공립학교 임용시험과 다르게

재단에서 자체적으로 보는 시험이 있거나

교육청에 우리 학교 선생님을 뽑아주세요 하고

시험을 위탁하는 형식이 있습니다. 위탁을 하여도

마지막 최종 면접시험은 그 학교 자체의 시험에

합격을 하여야 합니다.

 

만약 사립학교 공립학교 임용시험에 모두 합격하지 못한다면?

정규교사로 일을 할 수는 없으나

기간제교사나 시간제교사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

 

기간제 교사는 계약서에 명시된 기간 안에 학생들을 가르치며

요즘에 기간제 교사에 대한 처우가 개선이 되어서

호봉도 1년이 지나면 계속 올라가고

(예전에 일정 이상은 못올라가게 하였습니다 ㅠ)  

보수(월급)도 거의 정규교사와 비슷하게 받습니다.

물론 방학때도 월급이 나옵니다.

 

시간제교사는 파트타임처럼

수업시간이 있을때만 가서 일하고 오는 형식이며

보수는 시간당으로 받아서 적게 받으나

시간을 자유롭게 활용가능하다라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기간제교사나 시간제교사 둘다의 단점으로는

계약의 불안정성이라는 것입니다.

매해마다 시험을 봐야 한다면 어떨까요?

 

평가받는 기분이 들어서 별로 좋지 않을 뿐더러

매월 12월만 되면 일자리를 찾아 나서는

그런 스트레스가 이만저만 아닙니다.

 

임용을 앞두신, 교사를 고민하시는 선생님들을 위해

우리학교선생님과 같이 가볍게 보는 유튜브를 만들었습니다.

 


지금까지 학생들을 가르치는

중등교과교사가 되는 방법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어떠셨나요? 

 

학생을 성장시키는 사명을 가지신 분이

꼭 교사가 되셨으면 좋겠어요

 

좋은 하루 되세요

 

 

 

랑만적인 블로그 : 랑

 

EPR 교육학 논술:대한민국 임용고시생의 알짜배기 논술서, 교육과학사2020 교원임용 면접마스터 36.5, 미래가치2020 현직교사들이 들려주는 면접레시피, 미래가치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대화의 기술, 한문화

쿠팡 광고게재는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