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교사가 되는 방법 - 중등 교사 (교과교사) 1탄

랑만스쿨[랑이가 만나는 학교]

by 랑만로그 2020. 8. 31. 23:21

본문

안녕하세요 

랑만적인 블로그의 랑만입니다. 

 

교사가 되는 방법은 한 가지다?

영상으로도 올렸으니 랑만 TV도 참고해주세요 ^^

 

제가 학창 시절 때는 (호랑이..담배??ㅠ)

 

당연히 00교육과가 있는 

사범대를 가야지만 교사가 될 수 있다고 생각했어요.

 

그 당시에 교사가 꿈인 친구들은 희망 학과를

수학교육과, 생물교육과, 영어교육과 등의 

00 교육과를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삼았어요

 

저도 당연히 그 학과에 가야 

교사가 되는 건 줄알았죠 

 

하지만 제가 대학에 들어가고 나서

그리고 교직 생활을 하면서 

정말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다음에서 살펴보도록 할게요.


Step 1. 자신이 중, 고등학생들을 성장시키고 

싶은 사람인지 알아야 합니다. 

가르치고 싶은 대상이 청소년기의 학생들이

맞는지 왜 가르치고 싶은지가 명확하신

분이 교사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단순히 방학이 있어서, 보수가 안정적이어서 

교사라는 직업을 선택하시는 분도 계신데

그렇게 되면 개인적인 심리적 소진으로 인해 

이 현장에서 일하기 힘드실 거예요 

그리고 진정성이 없는 분들은  

학생들과 갈등이 

많이 있을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Step2. 어떤 과목을 가르치고 싶은지 

알아야 한다. 

 

자신이 정말 좋아하고+잘하는 과목을

가르치는 것이 베스트인 것 같습니다.

과목은 아래 표를 참조해주세요.

교과교사 + 비교수교과 

 

 

국어 수학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
일반사회 역사 지리
도덕윤리 체육 음악
미술 한문 영어
일본어 중국어 기술
가정 정보컴퓨터 동물자원
건설 식물자원 조경 식품가공
농공 전기 전기전자통신
전자 기계 기계 금속
화공섬유 상업 상업정보
수산해양 항해기관 관광
미용 연극영화 조리
디자인공예 특수  

비교수교과

전문상담 보건 사서 영양

 

 

 

 

하지만 문제는 내가 아무리 좋아하고

잘하는 과목을 가르치고 싶어도

그 과목의 선생님을 뽑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어요.. ㅠㅠ

그래서 이런 부분도

실제적으로 생각을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어떤 과목을 가르치고 싶은지 참고하셨나요?

그러면 아래 내용 참고하세요 

(비교과, 즉 비교수교과는 제가 다음기회에 자세하게 설명할게요)

지금은 교과교사 위주의 방법입니다 


 

Step 3. 교직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

 

공립, 사립학교에 근무해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싶으시면 교직 자격증을

취득해야 합니다.

(제가 알아본 바로는 5가지 방법이 있어요)

 

주의사항 : 교직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함. 

 

 


1. 00교육과가 있는 사범대나 일반대 들어가기 

이것은 누구나 아는 가장 유명한 방법이죠. 

하지만 들어가기 전에 교직자격증을 받는 것이 맞는지 확인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 교육학과, 교육심리학과, 교육공학과- 사범계 계열학과 들어가기

 

이 세 학과는 사범계 계열학과라 교직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교직자격증을 취득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저도 들어가고 나서 알았습니다 (랑=교육학과 출신;;)
1학년때 교육학에 관련된 전공과목을 듣고나서

2학년 때 교직자격증을 취득하고 싶은 학과를 결정을 하여

복수전공을 신청합니다.

 

예를들어

내가 영어교직자격증을 취득하고 싶다고 하면

2학년때 영어영문학과나 영어학과를 선택을 하면 되는 것이죠.

하지만 이것의 단점은 복수전공 시스템이기 때문에 들어야 할 학점이 많아서

졸업할 때까지 들어야 하는 과목수가 많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자신이 원하는 과목이 그 학교에 학과로 개설이 되어 있지 않으면 

선택할 수 없습니다.

 

3. 교직이수가 가능한 일반학과 들어가기

일반학과에 들어가서 1-3등 정도를 하시면(학교마다 기준이 다름)

교직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모든 학과가 교직자격증 취득이 가능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아시면 좋을 것 같아요.

이 부분의 단점은 1학년 때 대학 캠퍼스 생활을 잘 못 누리고

성적을 잘 받기 위해 엄청 열심히 공부해야 한다는 것이죠.

그렇다고 해서 1,2,3등을 하면 다행인데 못할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만약에 내가 상위권에 못 들어가서 교직이수를 못했다.

좌절하실겁니까? 두둥!!!!!

ㅠㅠ

 

 좌절하지 마세요. 우리에겐 다른 방법이 있습니다. (다음화에서 계속 ) 

다음 이야기 ... 

학부에서 교직자격증을 못땄다고 해서 좌절하지 마라 . 그러면 교직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은 ?  그리고 그 후  

2020/09/02 - [랑만스쿨[랑이가 만나는 학교]] - 교사가 되는 방법 - 중등 교사 (교과교사) 2탄

중2병의 비밀:초등4~중3 학부모와 교사를 위한 '요즘 사춘기' 설명서, 덴스토리(Denstory) 초보상담자를 위한 청소년 상담사례의 이해와 실제, 학지사 당신이 옳다 : 정혜신의 적정심리학, 해냄출판사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아이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는 대화의 기술, 한문화

참고사항 : 사진에는 나눔명조 ,KCC안중근체룰 사용하였습니다 (출처: 공유마당)

쿠팡 광고게재로 인해 ,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